쿠팡, 아마존·월마트와
함께
‘AI 역량’ 5대 글로벌
유통기업 선정
매일경제 이선희 기자 - 쿠팡이
글로벌 20대 유통기업
가운데
‘AI역량’으로 5위에
올랐다. 글로벌 유통기업인
코스트코, 크로거 등보다
높은 기술력을 평가받았다. AI역량을
인정받은 쿠팡은 최근
클라우드 사업 진출을
선언하고 신기술 영토
확장에 나섰다.
최근 글로벌 리서치
기업 CB인사이트(CB INSIGHTS)가 글로벌 20대
유통기업 대상으로 실분석한 ‘리테일 AI
준비도 지수’에서
쿠팡은
27.9점을 받아 5위
랭크됐다. 1위인 아마존(98), 알리바바그룹(61), 월마트(44.1), 징동(33.6) 다음이었다. CB인사이트의
이번 발표는 AI 실행력(AI기반
상품 제공)과
혁신(특허 등
기반 AI
역량과 추진력)을
바탕으로 지수화한 것이다.
CB인사이트는
쿠팡에 대해 “자체
인프라망을 통해 상품
판매 등 다양한
방면에서 AI
도구 혁신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마존과 징동닷컴, 쿠팡에
대해
“AI 솔루션을 이용해 재고
관리를 비롯해 수요예측
등을 실시하고 있다”며 “월마트와 쿠팡은
소매 유통 사슬과
풀필먼트 공급망 등에 AI를
활용하고 있다. 구글·아마존·오픈AI이 AI의
유통 도입을 이끌고
있지만, 쿠팡이나 월마트
같은 강자들도 장기적으로
강점이 있으며 전통적인
고객 여정을 AI를
이용해 바꿀 힘이
있다”고 밝혔다.
글로벌 리테일 기업들은
클라우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징동닷컴과 월마트도
수년 전부터 자체
클라우드 비즈니스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쿠팡은 정부가 GPU 확보와 AI육성
위해 추진하는 ‘GPU 확보·구축·운용지원 사업’ 공모에 뛰어든다고 밝혔다. 약 1조5000억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에는
네이버, 카카오, NHN 등
국내 주요 CSP 기업들이
신청서를 냈다. 쿠팡은
정부 사업에 1만
개 규모 GPU를
확보해 운용하겠다는 계획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클라우드(1만4000개) 다음으로 큰 규모다.
클라우드업계는 이제 갓
신사업을 시작한 쿠팡이
글로벌 AI
리테일 기업 순위에서 5위에 선정된만큼 쿠팡의 AI 사업
역량이 높을 것으로
보고,
AI 클라우드 시장에 출사표를
던진 쿠팡의 행보를
주목하고 있다.